CSS 8

반응형 디자인

반응형 디자인은 다양한 화면 크기와 장치에서 웹 콘텐츠가 적절히 표시되도록 만드는 디자인 접근 방식이다. 현대 웹 개발 시 필수로 적용되어야 하는 기술로, 어떤 기기에서든 적절한 화면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.1. Responsive Design의 개념과 필요성개념: 단일 웹 페이지가 다양한 화면 크기, 해상도, 방향(세로/가로)에서 일관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도록 설계하는 기술.필요성:다양한 디바이스(모바일, 태블릿, 데스크톱, TV 등)에서의 접근성 보장.사용자 기반 확대: 글로벌 인터넷 사용자의 대부분이 모바일 장치를 사용.SEO 최적화: 구글은 반응형 디자인을 추천.2. 핵심 원칙유동적인 레이아웃(Flexible Layouts): 콘텐츠가 화면 크기에 맞춰 자동으로 조정.유연한 미디어(Flex..

CSS 2024.12.31

레이아웃 설정

레이아웃 제작은 웹 페이지의 구조와 요소 배치를 정의하는 중요한 작업이다. 레이아웃 기술을 잘 이해하면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고 유지보수를 쉽게 할 수 있다.1. 레이아웃 제작의 핵심 개념컨테이너(Container): 페이지의 주요 구조를 담는 상위 요소.그리드 시스템(Grid System): 화면을 행(row)과 열(column)로 나누어 구성.정렬과 배치: 요소를 적절히 배치하고 간격을 설정.반응형 디자인(Responsive Design): 다양한 디바이스 크기에 대응.시맨틱 구조(Semantic Structure): 의미 있는 HTML 태그 사용으로 접근성 향상.2. 주요 CSS 레이아웃 기술1) Normal FlowHTML 요소는 기본적으로 Normal Flow로 배치된다.Block 요소: 위아래..

CSS 2024.12.31

Variables and Custom Properties

CSS Variables와 Custom Properties는 코드 재사용성과 유지보수를 향상시켜, 스타일을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. 1. CSS Variables (Custom Properties)란?CSS Variables는 재사용 가능한 값을 정의하는 사용자 지정 속성이다. 전역 또는 지역 범위에서 적용 가능하며, var() 함수로 참조할 수 있다.문법:root { --variable-name: value;} --variable-name: 변수 이름 (반드시 --로 시작).value: 변수 값.2. 주요 특징동적 업데이트 : CSS 변수는 JavaScript를 통해 동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.Cascading (상속 가능) : CSS의 계층 구조를 따르며 하위 요소가 부모 요소에서 정의한 변..

CSS 2024.12.31

Transitions와 Animation

CSS의 Transitions와 Animations는 요소의 스타일 변화를 매끄럽게 보여줌으로써 인터페이스를 동적이게 보여준다.1. TransitionsCSS Transitions는 한 상태에서 다른 상태로의 스타일 변화가 부드럽게 진행되도록 설정한다. 일반적으로 사용자 상호작용(예: hover, focus)과 결합된다.구문selector { transition: property duration timing-function delay;} property트랜지션을 적용할 CSS 속성 (예: background-color, transform).duration변화가 지속되는 시간 (초 단위 s 또는 밀리초 단위 ms).timing-function애니메이션 속도 곡선을 정의 (예: ease, linear, e..

CSS 2024.12.31

Pseudo-classes and Pseudo-elements

CSS의 Pseudo-classes와 Pseudo-elements는 기본 선택자만으로는 다루기 어려운 요소의 특정 상태나 부분에 스타일을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. 1. Pseudo-classesPseudo-class는 요소가 특정 상태에 있을 때를 선택하기 위해 사용된다. 일반적인 요소 선택자와 함께 사용되어 조건부 스타일링이 가능하다.구문selector:pseudo-class { property: value;}주요 Pseudo-classes상호작용 상태:hover : 사용자가 요소에 마우스를 올렸을 때button:hover { background-color: blue;}:active : 요소가 활성 상태일 때(예: 버튼이 눌린 상태).button:active { background-color: r..

CSS 2024.12.31

Selectors and Specificity

CSS의 Selectors and Specificity는 요소에 스타일을 적용하기 위한 핵심 개념이다. 각 선택자를 이해하고 우선순위를 계산하는 것은 효율적이고 유지보수 가능한 CSS를 작성하는 데 필수적이다. 1. CSS 선택자 (Selectors)CSS 선택자는 HTML 요소를 타겟팅하여 스타일을 적용하는 방법이다.기본 선택자유형 선택자 (Type Selector) : HTML 태그 이름으로 요소를 선택한다.p { color: blue;}클래스 선택자 (Class Selector) : class 속성을 기반으로 선택한다..button { background-color: red;}ID 선택자 (ID Selector) : id 속성을 기반으로 선택한다.#header { font-size: 24px;..

CSS 2024.12.30

Box Model

CSS의 Box Model은 웹 페이지의 요소를 다루는 기본 개념으로, 모든 HTML 요소를 박스로 처리하는 방법이다. 이 박스는 네 가지 주요 영역으로 나뉜다.Content (내용)요소 내부의 실제 콘텐츠가 위치하는 영역이다.텍스트, 이미지, 입력 필드 등이 여기에 포함된다.이 영역의 크기는 width와 height 속성으로 설정한다.div { width: 200px; height: 100px;}Padding (안쪽 여백)콘텐츠와 요소의 경계선(Border) 사이의 공간이다.요소 내부에 여유를 주어 콘텐츠와 경계선이 겹치지 않게 해야 한다.네 면 각각 따로 설정 가능:padding-top, padding-right, padding-bottom, padding-left모든 면에 같은 값을 적용하려면 ..

CSS 2024.12.30

미디어 쿼리

미디어 쿼리(Media Query)는 웹 개발에서 특정 조건에 따라 스타일을 적용할 수 있는 CSS 기능이다. 주로 디바이스의 화면 크기, 방향, 해상도, 색상 선호도 등을 기준으로 웹 페이지의 스타일을 다르게 적용하고자 할 때 사용된다. 문법@media 규칙을 사용한다. @media (조건) { /* 조건이 참일 때 적용될 CSS */}예시/* 화면 너비가 600px 이하일 때 */@media (max-width: 600px) { body { background-color: lightblue; }}/* 화면 너비가 600px 이상일 때 */@media (min-width: 600px) { body { background-color: lightgreen; }}이 경우 화면 너비가 60..

CSS 2024.12.19